전체 글35 기업회계-3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기업이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이며 어떤 종류의 사업을 하느냐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도소매업은 상품, 제조업은 원재료, 재공품 및 제품으로, 부동산 매매업은 판매용 부동산 등 명칭으로 표시됩니다. 회계실무에서 재고자산은 분식회계의 대표적인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업종에 따라 보관이나 관리방식이 상이하고 광범위하여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과정에서도 확인이 매우 어렵기 때문일 것입니다. 재고자산 회계의 기본 주제는 재무상태표에 보고될 재고자산과 손익계산서에 보고될 매출원가가 얼마인지 여부입니다. 재고자산은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거나 판매될 제품을 제조하는 중이거나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직간접으로 사용될 자산을 일컫습니다. 도소매업은.. 2023. 12. 7. 기업회계-2 단기채권과 단기채무 기타의 단기채권과 단기채무 상거래에서 발생한 매출채권 외에 기타의 단기 채권과 단기채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가. 대여금과 차입금 차용증서나 어음 등을 받고 현금을 대여(차입) 한 경우에는 대여금(차입금) 계정에 기록합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거래를 통해 어음을 수취(지급)하면 받을어음(지급어음) 계정을 사용하고 자금을 융통하면서 어음을 수취하는 경우에는 대여금(차입금) 계정을 사용합니다. 나. 미수금과 미지급금 일반적 상거래에서 발생한 채권( 채무)은 매출채권(매입채무) 계정을 사용하지만 외의 거래에서 발생한 채권은 미수금(미지급금) 계정을 사용합니다. 미수금(미지급금)의 예로는 비유동자산이나 유가증권의 처분(취득) 대금 중 회수(지급) 하 지목하였거나 또는 어음으로 수취(지급)한 금액을 들.. 2023. 12. 7. 기업회계 자산은 기업 외부로부터 조달된 자본의 운용 결과로써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유동자산에는 현금과 현금성 자산, 매출 채권, 재고 자산이 포함되고 비유동자산에는 투자자산과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이 포함됩니다. 기업을 경영하다 보면 불가피하게 부채는 발생하게 됩니다. 앞서 IMF 외환 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에서 경험하였듯이 자금시장이 경색되면 과다한 부채와 이자 부담이 많은 기업은 도산하는 현상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부채는 사람의 몸과 같아서 적절히 다스리지 못하면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측면으로 부채의 사용에 따른 이자 비용은 주주로부터 조달한 자기 자본비용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초과수익의 기회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이익 창출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2023. 12. 6. 기업의 공시제도 오늘날 회계정보는 공공재(public goods)로 간주하기 때문에 회계정보의 공급에 대해 규제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국가들이 회계정보의 공시를 규제하는 법적 장치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상법,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에 따라 회계정보의 공시를 강제하고 있다. 중간재무보고란 1년보다 짧은 기간인 반기(6개월)나 분기(3개월)의 회계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재무 보고를 말한다. 중간재무보고는 적시성 있는 회계정보의 제공을 통하여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상장회사는 중간재무보고서로써 6개월간의 사업보고서인 반기보고서와 3개월과 9개월의 사업보고서인 분기 보고서를 금융위원회와 거래소에 제출하도록 의무화하.. 2023. 11. 24. 이전 1 ··· 4 5 6 7 8 9 다음